2015년 8월 1일 토요일
안드로이드 백신 추천
위 이미지는 올해 1월 안드로이드 백신 성능이다.
최근 V3는 PC백신 시장에서도 엄청난 발전을 보이고 있다. AV-TEST 등등의 해외 백신성능 테스트업체의 결과를 보면 최상위권에 링크되고 있다.
PC백신의 경우에 테스트에 진행된 제품이 V3 Internet Security 9.0이다. 이건 기업용 제품이고 개인용 유료제품은 V3 365이다.
무료제품은 알다시피 v3lite가 있다. v3 365와 v3lite 는 pup기능의 차이이다.
pup는 불필요한 프로그램이란 뜻인데, 의도하지 않게 설치된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악성코드류의 일부가 포함될 수 있고 브라우저 시작페이지를 멋대로 바꾸는 프로그램들도 포함될 수 있다.
즉, 엔진은 v3lite나 v3 365나 차이가 없다는 뜻이다. 최근 1~2년사이에 v3의 성능이 좋아졌으니 무료백신을 고르기 힘들다면 PC 백신은 v3를 써도 괜찮을 것이다.
다시 모바일 백신으로 넘어와서
v3는 모바일백신시장에서 항상 검출률 상위권에 있어왔다. 위에 이미지를 보면 avira나 코모도보다도 검출률이 좋다. 그런데 저 위에 있는 백신들은 대부분 기능들이 인앱구매(앱은 무료지만 기능을 사용하려면 유료결제)로 되어 있다.
v3도 Mobile 3.0 에서는 인앱구매를 넣었다.(아직 국내는 발매전. 최근 모바일백신테스트는 v3 moible 3.0으로 테스트. 곧 발매예정)
그런데 저기 위에 있는 v3 mobile 2.1은 무료이다.(v3 mobile plus과 다르다. v3 mobile plus는 은행앱을 실행시킬 때 자동으로 뜨는 앱이다. 대부분의 국내 안드로이드폰에 설치되어 있을것이다.)
v3 mobile 2.0은 각 통신사 스토어나 기기제조사 스토어에서 받을 수 있다.
이미지의 버전은 2.1로 되어있는데, 2.0을 받아서 업데이트하면 엔진버전이 2.1로 업데이트된다.
딱히 사용할만한 안드로이드용 백신이 없다면 v3 mobile 2.0을 써도 좋다.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