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2월 9일 화요일

[MAC/Redis] redis 설치하기 및 cluster 구성하기

터미널을 열어서 

brew install redis

를 입력한다. 권한이 없다고 나오면

sudo brew install redis를 입력한다.

redis가 설치되면 터미널에 redis.conf 위치가 나온다.

intel mac은 /usr/local/etc/redis.conf 여기이고, silicon mac은 /opt/homebrew/ 밑에 생긴다(실리콘 맥은 기억이 가물가물)

[brew 설치 폴더 : /usr/local for macOS Intel, /opt/homebrew for Apple Silicon]


설치하면 기본세팅이 완료된거라서, redis를 실행하고 6379 포트에 접속하면 된다.

brew services start redis

접속 : redis-cli -h 127.0.0.1 -p 6379

redis 종료는

brew services stop redis


cluster 구성은 다음과 같이 한다. 3개의 노드로 클러스터를 구성할 것이다.

우선 새 폴더를 하나 만들고 위의 redis.conf 파일을 복사하여 3개의 redis.conf를 새 폴더에 만들고 이름을 다음과 같이 변경해주자.

redis_7001.conf, redis_7002.conf, redis_7003.conf

각 노드는 7001, 7002, 7003 포트를 사용할 것이다.


conf 파일을 열어서 아래의 내용을 수정해준다.(포트번호가 들어가 있는 내용은 포트에 맞게 수정해주면 된다.)

port 7001

cluster-enabled yes

cluster-node-timeout 5000

pidfile /var/run/redis_7001.pid

dbfilename dump-cluster01.rdb

cluster-config-file nodes-7001.conf


그리고 firstRun.sh 파일을 만들고 아래 내용을 입력한다.

redis-server ./redis_7001.conf &

redis-server ./redis_7002.conf &

redis-server ./redis_7003.conf &

redis-cli --cluster create 127.0.0.1:7001 127.0.0.1:7002 127.0.0.1:7003

저장 후 실행시키면 클러스터 생성이 완료된다.


redis-trib.rb를 이용하여 클러스터를 생성하는 글이 있는데, redis 버전 6부터는 지원하지 않는다.


다음부터는 클러스터를 만들 필요가 없으므로 Start.sh 파일을 만들고 아래 내용을 입력하고 저장한다.

redis-server ./redis_7001.conf &

redis-server ./redis_7002.conf &

redis-server ./redis_7003.conf &


이제 Start.sh 파일만 실행하면 클러스터 모드로 실행된다.

댓글 없음: